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한 '넥스트라이즈 2020, 서울(NextRise 2020, Seoul)' 축사에서 혁신금융 재점화 방향을 이같이 전했다.
정부는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혁신금융 과제를 적극적이고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하기로 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산업부, 중기부, 복지부 등 유관부처와 함께 내달 중 우선 20개, 금년 중 200개 기업을 선정하고, 기업의 업력, 자금수요 등에 맞추어 다각적인 금융지원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은성수 위원장은 "혁신기업에 자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금년말까지 조성되는 8조원 규모의 '성장지원펀드'를 2022년까지 15조원 규모의 '스케일업펀드'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크라우드펀딩이 벤처 중소기업의 중요한 자금조달 수단으로 활용되도록 발행기업 범위는 창업벤처에서 중소기업으로, 한도는 연간 15억원에서 30억원으로 확대하는 제도 개선도 추진하기로 했다.
다음달 중에는 아시아 최대 창업 보육공간인 '마포 Front1'을 개소하고, 하반기 중에는 정책금융기관 심사체계 개선, 통합 여신모형 도입 등 여신시스템 개선에도 힘을 싣기로 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박람회인 '넥스트라이즈 2020, 서울'은 KDB산업은행과 한국무역협회 주관으로 6월 23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스타트업 185개사, 대기업 4개사 및 정부출연연구소가 전시에 참여하며, 스타트업과 대기업, 벤처투자회사 간 1700회 사업협력 및 투자상담이 실시된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