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대 국회의 임기는 다음 달인 5월 29일로 만료된다. 이후부터는 지난 15일 열린 21대 총선 결과에 따라 선출된 21대 국회가 공을 이어받게 된다. 특히 21대 국회는 총선 이래 집권여당이 가장 큰 압승을 거둠에 따라,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에도 가속이 붙을 것으로 관측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복수의 부동산 전문가들은 20대 국회가 내놓았던 부동산 정책들의 후속 입법과 처리가 남은 한 달 안에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다만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과반을 넘어 163석이라는 압도적인 의석수를 얻으면서, 21대 국회의 법안 처리 속도가 지난 국회들보다 빠를 것이라는 관측도 함께 나오고 있다.
◇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발의 부동산 법안 다수 상임위 계류...21대 국회에서 힘 얻을까
그러나 이 같은 발의안은 상임위를 통과하지 못하고 계류 중으로, 사실상 20대 국회에서 처리되는 것은 어려울 전망이다. 업계는 해당 안이 재논의와 검토를 거쳐 하반기 중 다시 발의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은 불법 전매에 대해 10년간 청약을 금지하고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임대주택 공급 등 공공성을 갖춘 사업에서 나오는 주택은 분양가 상한제 대상에서 제외하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이 또한 상임위 상정만 됐을 뿐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적어도 20대 국회 때보다는 여당의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아닌가”라며, “어려움이 없지는 않겠지만 관련 법안 처리 속도가 확연히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