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유선희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3일 긴급회의를 열어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다. 금융감독원은 연준의 이번 금리 인하가 국내 시장에 단기적 충격을 주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글로벌 저금리 기조가 한층 심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4일 금감원은 이날 오후
유광열닫기
유광열기사 모아보기 수석부원장 주재로 원내 주요 임원과 주무부서장이 참석하는 금융상황 점검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국내 영향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미국 연준 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지난 3일 긴급회의를 열고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해 연방기금금리를 0.5%포인트 인하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기존 1.50~1.70%에서 1.00~1.25%로 내려갔다. 미 연준이 긴급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내린 건 이번을 포함해 8번 뿐이다. 긴급회의는 2001년 9·11테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관련 등 사안이 엄중할 때 열린 바 있다.
미국 증시는 연준의 전격적 금리인하 이후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며 지수가 급락한 반면 국내 금융시장에는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는 것이 금감원의 분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리인하 직후 국내 금융시장은 전일 미 증시 급락에도 불구하고 각국 정책공조 기대 등으로 주가상승과 환율하락 및 외국인투자 순매수 전환 등 긍정적인 모습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유광열 수석부원장은 "우리 금융시장이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특히 외국인투자가 8영업일만에 순매수로 전환된 점은 긍정적"이라며 "현재 국내은행 등 금융회사는 외화자산 운용과 조달을 균형있게 운용하고 있고 외화자산 규모도 총자산의 15% 수준으로, 금리인하에 따른 단기적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유 수석부원장은 글로벌 저금리 기조가 심화할 것으로 예상해 리스크 요인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도 제언했다. 유 수석부원장은 "향후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각국의 통화정책 대응 과정에서 글로벌 저금리 기조가 한층 심화될 것으로 예상돼 수익성 저하 등 리스크 요인을 미리 점검해야 한다"며 "금융위원회·기획재정부·한국은행 등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에 대해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