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스자산운용은 19일 주택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관계를 분석한 ‘국내 주택시장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국내의 보증금 혹은 전세는 임대인이 투자금을 줄이는 수단으로 쓰인다고 설명했다. 10억원의 주택을 사는 경우 자본 6억원에 대출 4억원으로 주택을 사는 것이 아니라 자본 3억원, 전세금 5억원, 대출 2억원을 더해 사는 식이다.
주택 매입에 들어가는 돈이 줄어들수록 매매가 상승에 따른 수익률은 증가한다. 수익은 같지만, 투자금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세입자 입장에서도 매매가 상승이 둔화하면 자산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매매보다는 전세로 살려고 한다. 결국 임대인과 세입자의 영향으로 매매가격 상승이 둔화될 때 전셋값은 상승하고 반전세가 나타나게 된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과 매매가 지수를 살펴보더라도 매매가 상승이 둔화한 시기에 전셋값이 높은 상승을 보인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전셋값이 높게 오르면 갭투자의 요인을 제공하게 돼 결국 매매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지스자산운용 관계자는 “해외와는 다른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전세구조가 매매 및 전세가격의 상승으로 이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공급적인 측면에서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