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지주는 7일 경영실적 발표에서 2019년 누적 당기순이익 1조9041억원을 시현했다고 공시했다. 2018년 기말 공시된 우리은행 연결기준 실적(2조33억원) 대비해서는 6.3% 줄었다.
우리금융지주 측은 "지주전환에 따른 회계상의 순이익 감소분 1344억원 포함시 약 2조원을 초과하는 규모로 경상기준 사상 최대실적"이라고 밝혔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으로 구성된 수익성 핵심지표인 순영업수익은 3.4% 증가한 6조 9417억원을 달성했다.
NIM(순이자마진)은 그룹(은행+카드)는 2019년 4분기말 1.63%, 은행 NIM은 1.37%를 기록했다.
우리금융그룹은 ROE는 9.44%로 두자릿수에 근접했고, ROA는 0.58%를 나타냈다.
글로벌부문 강화 노력의 결과 글로벌부문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240억원 수준으로 전년대비 15.8% 성장했다. 우리금융지주 측은 "이로써 글로벌 당기순이익 비중은 10%를 상회하며 주요 수익원으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했다.
자산건전성(은행기준) 부문은 전년보다 나아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40%, 연체율도 0.30%로 업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자본비율을 보면 그룹 BIS비율이 2019년 11.9%, 보통주자본비율은 8.4%로 집계됐다. 은행은 각각 15.4%, 11.0%다.
지난해 그룹의 판매관리비용률은 52.0%로 집계됐다.

은행 순익은 중소기업 중심 대출성장과 핵심예금 증대가 기여했다. 원화대출 증가율은 지난해 243조84억원으로 집계됐고, 이중 중소기업(법인+소호) 대출이 87조5070억원으로 나타났다.
2019년말 은행 예대율은 94.1%로 관리됐다.
아울러 우리카드와 우리종합금융은 지난해 각각 1142억원, 474억원을 시현했다.
지난해 우리금융지주는 M&A(인수합병)을 거쳐 우리자산운용, 우리글로벌자산운용, 우리자산신탁을 자회사 편입하고, 우리카드, 우리종금 자회사 편입도 완료했다.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는 “지난해 어려운 대내외 여건에서도 경상기준 사상 최대실적 달성과 더불어 비은행 M&A를 연이어 성공시키며 수익원 다변화의 토대를 마련한 성공적인 지주사 원년이었다“며 “2020년에도 지난해 다져진 수익 창출력과 성장성을 기반으로 그룹체제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며, 주주 친화정책도 적극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우리금융그룹은 실적발표와 함께 2019 회계연도 결산 배당금으로 보통주 1주당 700원의 현금배당을 공시했다. 전년대비 50원 증가한 배당을 결정했다.
공시한 배당의 배당수익률은 5.8%, 배당성향은 26.6%로 전년대비 각각 1.8%p(포인트), 5.1%p 증가한 규모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