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전하경 기자] 신한은행 등 키코 분쟁조정 관련 은행이 모두 금감원에 분쟁조정 기한 연장을 신청했다. 법률적 검토 등이 필요해 최대한 기일을 미룬 것으로 보인다.
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한국씨티은행, 대구은행, KDB산업은행은 모두 금감원에 키코 분쟁 조정안 기한 연장을 요청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키코 분쟁조정 관련 은행 모두 연장을 신청했다"라며 "연장 기한은 30일로 2월 7일정도까지로 미뤄졌다"고 말했다.
금감원 분조위는 작년 12월 분쟁조정을 신청한 키코 피해기업 4곳에 대한 배상비율을 15~41%로 결정했다. 해당 결과를 발표할 당시 금감원에서는 내부 업무 등에 따라 기한 연장을 할 수 있다는 문구를 뒀다.
은행별 배상액으로는 신한은행 150억원, 우리은행 42억원, 산업은행 28억원, KEB하나은행 18억원, 대구은행 11억원, 한국씨티은행 6억원이다.
시중은행들은 키코 배상안을 두고 눈치작전에 들어갔다. 외국계 은행인 한국씨티은행은 금융당국 규제에서 시중은행보다는 자유로운 점, 외국계 본사 이사회에서 이를 수용하지 않는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은행권 관계자는 "한국씨티은행은 본사가 외국계여서 이사회 문턱을 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업계에서는 배상액이 큰 신한은행이 어떻게 나올지 예의주시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키코 분조위는
윤석헌닫기
윤석헌기사 모아보기 금감원장이 역점을 둔 사안으로 1년여동안 매달려왔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작년 12월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취임 기간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성과로 키코 분조위를 꼽기도 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