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타다 금지법'으로 불리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이 5일 교통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면서 타다는 1년6개월의 유예기간, 시한부 선고를 받게 되었다.

국토위는 6일 전체회의를 개최하여 이 법을 의결한 계획이며 개정안의 유예기간은 1년6개월이다. 시행령을 만드는 기간이 1년, 이후 플랫폼 모빌리티 사업 준비기간이 6개월이다.
국토위는 만장일치로 타다 금지법,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지만 공정위는 지난 4일 타다 금지법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대를 표명한 검토 의견서를 제출했다. 의견서에서 공정위는 사업 영위는 자동차 소유, 리스, 렌터카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여지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타다의 입장을 지지했다.
국토위는 법안 통과 과정에 대해 입법을 한 뒤 현재 마주하고 있는 문제는 시행령에 담아 해결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고 논의하여 만장일치 합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0월 첫 서비스를 개시한 타다는 가입자 수 145만 명을 돌파하는 등 기존 택시에 비해 사용자 편의를 높이고 차량 관리에 투자한 전략 등으로 호평을 받아 모빌리티 혁신 서비스의 대표 주자로 여겨져왔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