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연구는 지난 4월 1일∼5월 10일 수도권 및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0∼49세 미혼 남녀 2665명을 대상으로 설문, 심층 면접(FGI)을 통해 조사한 결과다. 응답자들이 최근 1년간 가입한 보험 건수의 비중을 보면 기혼자는 본인(60.3%) 외에 배우자(22.4%), 자녀(15.2%)의 비중이 높았다.
미혼자들이 부모를 위해 가장 많이 든 보험은 암보험(19.3%)이었고 종신보험(18.0%)과 실손보험(15.2%)이 뒤를 이었다. 간병보험의 비중(4.0%)도 기혼자(1.1%)에 비해 높았다. 반대로 이들이 자신을 위해 가입한 보험은 암(19.1%), 실손(16.0%), 종신(12.8%) 순으로 나타났다.
같은 시기 기혼자들이 가입한 보험은 암(16.4%), 실손(16.3%), 종신(11.7%)이었고 어린이보험의 비중(9.6%)도 상대적으로 컸다.
FGI 조사에서 30대 남성 A씨는 부모 간병 문제로 가족 간에 갈등을 겪는 주변 사례를 보며 부모 보험의 필요성의 고민하게 됐다고 밝혔다. 30대 여성 B씨는 몇년 전까지 부모와 따로 살다가 부모의 건강 문제를 계기로 다시 함께 살게 되면서 보험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전했다.
삼성생명 연구소 윤성은 연구원은 "3040 미혼자들은 '노후 리스크'에 혼자 대비해야 한다는 생각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며 "사회 진출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재무설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