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최종구 금융위원장(오른쪽 가운데)이 8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일본 수출규제 대응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 금융위원회
[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시중은행들이 일본 수출규제 피해 기업에 대한 정부 정책에 협조하고 자체적인 신규 자금 공급에도 나서기로 했다.
신한·우리·농협·국민·하나·부산 등 시중은행장은 3일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종구닫기최종구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장 주재로 열린 '일본 수출규제 대응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전일(2일) 일본 정부가 한국을 수출심사 우대국인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배제한 가운데 이날 금융당국은 정부 합동 종합대응 계획에 맞춰 정책금융기관 대출·보증 일괄 만기연장, 6조원 규모 신규 유동성 자금공급,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재·부품·장비 기업 설비자금 공급, M&A 인수자금 지원 등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자체적으로 신한은행은 지난달 31일 '소재부품전문기업 성장지원 대출'을 출시했다. ‘소재∙부품전문기업’에 대해 연 0.5% 우대금리를 제공하며, ‘일본 수출규제 등에 따른 피해기업’의 경우 연 0.3%, 기술혁신 중소기업인 ‘이노비즈 인증기업’의 경우 연 0.2% 추가 우대금리를 제공해 최대 연 1.0%까지 금리를 우대한다.
우리은행도 오는 5일부터 일본 수출규제 피해기업에 대해 2조7000억원 규모 신규 경영안정특별자금을 지원하고 최대 연 1.2%p 금리감면에 나서기로 했다.
NH농협은행의 경우 기존 프로그램을 통해 일본 수출규제 피해기업을 비롯, 대일(對日) 농산물 수출애로농가에 대한 신규자금 지원과 금리감면을 실시할 방침이다.
특히 이날 참석한 금융회사들은 이번 금융지원 대책이 현장에서 원활히 집행되기 위해서는 일선 담당자의 현장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담당자 면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와관련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이날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금융당국도 일선 담당자의 지원 과정에서 고의‧중과실이 없는 경우 면책을 받을 수 있도록 해 금융권의 적극적이고 신속한 지원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금융위 측은 이날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일본계 자금 유출 등 금융부문에서의 위기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만약의 경우라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