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화재 부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소장 최철환)는 최근 5년 교통사고 추세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최근 5년간(2014~2018년) 경찰에 신고된 교통사고 110만 9987건을 분석한 결과다.
2018년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21만7148건이 발생해 3,781명이 사망했다. 이는 30년 전인 1989년 교통사고 건수였던 25만5787건, 사망자 수 1만2,603명에 비하면 현저히 줄어든 수치지만, 사고건수만으로는 여전히 20만건 대가 유지되고 있었다.
사망자와 사고건수의 추세와 유사하게 교통사고로 인한 중상자는 9만3,047명에서 7만4,258 명으로 20.2% 감소하였으나, 오히려 경상자는 22만3,375 명에서 22만7,511 명으로 1.9% 증가하는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 이는 사회가 급속도로 고령화되면서 고령운전자가 증가한 여파로 분석됐다.
이에 따른 고령운전자 1만 명당 사고건수는 110.0 건으로 30~40 대의 2배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1만 명당 사망자수는 3.1명으로 30~40 대의 4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65 세 이상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는 48%가 증가하여, 사고건 미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는 사망자수 증가보다 사고건수 증가폭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된 반면, 청장년층 운전자 교통사고는 사고건수 보다 사망자수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고령인구의 비율이 높고, 도로환경이 열악한 시도(중소도시 도로) 교통사고는 5.5% 증가한 반면, 특별광역시도의 사고건수는 3.5% 감소한 것 역시 고령층 중심 교통사고가 늘었다는 것을 반증했다.
이번 발표와 관련하여 임채홍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지금까지의 교통안전 정책은 보행자, 과속, 음주 등 고심도 사고에 치중하여 펼쳐졌으며, 상대적으로 저심도 사고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던 측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교통안전 수준이 한단계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지선닫기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