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19층 회의실에서 열린 ‘회계감독 선진화를 위한 관계기관 회의’에서 “우리 회계감독은 사후적발‧제재를 통해 위반행위를 억지하는 방식으로 운영해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위원장은 시장의 전문성도 존중하겠다고 약속했다. 감독기관은 회계처리 결과가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을 인정하되 그 판단과정이 일관되고 합리적인지를 점검하는 데 초점을 두겠다는 것이다.
최 위원장은 “원칙 중심의 체계로 알려진 국제회계기준은 기업이 거래의 경제적 실질을 가장 잘 알기 때문에 회계처리 판단에 있어서도 기업이 가장 높은 전문성을 가진다고 보는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그동안 우리는 감독기관이 정답을 제시하고 제재를 확정하는 규정 중심 규율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한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외부감사인에 대한 감독과 관련해서는 “최근 국제감사기준이 리스크 기반 감사로 전환됨에 따라 외부감사인은 개별 기업의 리스크가 큰 분야를 판단해 해당 부문에 감사자원이 집중적으로 투입되도록 감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따라서 감사보고서에 대한 감리도 외부감사인이 기업의 특성을 고려해 감사절차를 합리적으로 설계했는지에 중점을 두고 실시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외부감사인은 잘 만들어진 감사계획에 따라 연중 기간별로 업무량을 분산, 조절함으로써 기업의 회계이슈에 대해 보다 일찍, 보다 충실하게 기업과 상의하고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과 감사인 간 대화를 통해 기업 특성에 맞는 합리적인 감사계약이 만들어지면 감사보수에 대한 기업의 불만이 완화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마지막으로 최 위원장은 시장과의 역할 분담을 통해 감독의 효율성을 높여가겠다고 역설했다.
이에 당국은 상장준비기업의 회계 투명성 점검에 대한 상장주관사와 거래소의 역할을 강화하는 한편 중소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을 높이기 위해 매년 회계법인 스스로 자체평가를 시행하도록 해 시장의 자율기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