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와 기아차는 하반기에 신형 iX25와 중국형 K3 등 신차를 투입해 반등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다만 중국 자동차 시장의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는 양상이라 판매 반등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중국정부가 지난 4월부터 증치세(부가가치세) 인하 등 자동차 촉진 정책을 시행했지만 시장 수요는 역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 격화로 인해 얼어붙은 소비심리가 한 요인으로 꼽힌다.
내연기관차 하락세와 함께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친환경차) 성장 등 시장환경 변화도 뚜렷하다. 지난달 중국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 포함) 판매량은 5.9% 증가한 9만4000여대다. 성장세는 한풀 꺾였지만, 비중은 5.9%로 전년 동월 대비 0.8%포인트 성장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날 산업분석 보고서를 내고 "현대·기아차는 설비축소로 중국 판매량 감소에 대응 중이나 판매량 감소 속도가 더욱 빠르다"면서 "2020년 이후 상품성이 개선된 신차 투입이 중국사업의 기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