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치병’으로 여겨지던 암에 대한 공포는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큰 폭으로 완화되고 있지만, 국내 보험사들이 제공하는 ‘암보험’의 지급보험금은 암 치료비에 비해 다소 부족하다는 통계가 제시됐다.
한화생명이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암 진단을 받은 고객 약 17만 명을 대상으로 2018년까지의 보험금 지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인당 약 2,200만원의 보험금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한국 암치료 보장성확대 협력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암 치료에 소요되는 평균 비용은 2,877만원으로 개인이 보험만으로 감당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암 부위별로 살펴보면, 유방암이 2934만 원의 보험금으로 치료비의 1.7배에 해당하는 가장 많은 보험금을 지급했다. 이어 간암이 2232만 원, 갑상선암이 2071만 원 순으로 뒤를 이었으나, 이들은 대부분 실제 치료비에 미치지 못하는 보험금으로 우려를 사고 있었다.
이 밖에도 한화생명이 암 환자가 많이 활동하는 주요 인터넷 카페 글 등 약 230만 건을 분석한 결과, 부담 요소는 수술 및 항암치료(35.2%), 암 재발/전이(15.0%), 가족 걱정(13.0%), 병원/교수 결정(8.3%), 치료비(7.5%) 순으로 나타났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