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손해보험 관계자는 “인수를 추진했던 것은 사실이나 세부적인 계약 조건이 맞지 않아 최종적으로 거래를 하지 않기로 했다”고 전하는 한편, “여전히 해외 영토 확대 계획은 접지 않은 상태”라고 부연했다.
국내 보험사들이 높은 경제성장률로 보험산업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베트남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험연구원 조용운 연구위원은 베트남 시장이 지닌 높은 보험시장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야 하며, 성공적인 베트남 진출을 위해서는 현지 사정 및 문화에 부합하는 진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조 연구위원은 베트남은 높은 청장년층 인구비중, 높은 경제성장 등 보험시장의 성장잠재력이 매우 높은 시장으로 손꼽힌다고 지적했다. 특히 베트남은 15~64세 인구 비중이 2015년 기준 70.2%로 매우 높은 편으로, 경제성장에 유리한 인구구조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시장개방 정책 이후 외국인 투자와 내수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베트남은 지속적인 고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 보험산업은 보험밀도 및 보험침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나, 규제불확실성이 줄면서 성장률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생명보험 및 손해보험시장 규모는 우리나라의 2.0%, 2.4%에 불과하나, 연 평균 보험료 실질성장률이 15.%, 7.3%로 높은 수준으로 매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베트남 축구 대표팀에 ‘쌀딩크’ 박항서 감독이 부임해 일대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데다, 리그오브레전드를 비롯한 현지의 e스포츠 열풍 또한 거세지면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 개선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금이 국내 회사들이 베트남에 진출하기에는 ‘최적의 시기’라는 시각도 나온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