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장호성 기자]
윤석헌닫기
윤석헌기사 모아보기 원장 취임 이후 4년 만에 부활한 금융감독원 종합검사의 보험업계 첫 타자로 생명보험사 가운데서는 한화생명, 손해보험사 가운데서는 메리츠화재가 확정됐다.
당초 금감원은 한화생명을 일찍이 확정한 뒤, DB손해보험과 메리츠화재를 두고 최종 조율을 진행하고 있었다. 첫 검사에서는
김용범닫기
김용범기사 모아보기 부회장이 대표이사로 취임한 이후 ‘과도한 시책 경쟁’으로 업계와 당국의 우려를 샀던 메리츠화재가 먼저 검사 대상이 됐다.
한화생명은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즉시연금 이슈와 더불어 대형 생명보험사들(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가운데 유일하게 200%대 초반의 지급여력비율을 기록한 바 있다. 한화생명의 전체 즉시연금 미지급금은 850억 원(2만5000건)으로 삼성생명 4300억 원(5만5000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600~700%대의 높은 시책(인센티브)을 책정했던 치아보험을 비롯, 장기 인보험을 개발, 판매하는 과정에서 사업비 지출이 많아져 금감원의 주목을 끈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해 메리츠화재의 사업비율은 26.57%로 전년 동기(22.9%)보다 3.67%포인트 올랐다. 사업비는 1조79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1조3870억 원보다 29.2%나 늘었다.
단, 금감원은 과거 종합검사와 달리 저인망식으로 모든 분야를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핵심 부문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다고 천명한 상태다. 따라서 이번 종합검사에서도 꾸준히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보험금 지급이나 사업비 지출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