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노동조합이 최근 금융위의 예산 삭감 지침에 내놓은 성명을 두고 금융권에서 여러 말이 오르내리고 있다. 금감원의 상급 기관인 금융위에 '센' 발언을 한 셈이라서다.
금감원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올초 공공기관 지정 대신 이에 상응한 경영 통제를 받도록 한 바 있다. 금융위는 "감사원의 방만 경영 지적과 기재부 방침에 따라 예산심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입장이나, 금감원 내부에서는 "예산심사권으로 금감원을 길들이고 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학자 시절 금융정책과 감독 분리를 주장해온 윤석헌닫기윤석헌기사 모아보기 금감원장 취임 이후부터 형제격인 금융위와 금감원 사이 불편한 기류가 감지됐다는 게 중론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 / 사진= 금융위원회
특히 최근에 결국 금감원 결론으로 마무리된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 분식, 더 이전까지 올라가면 케이뱅크 인허가 특혜 의혹 관련 금융위의 공동해명 요구에 대한 금감원의 거절까지 거론되고 있다.
갈등설이 나올 때마다 최종구닫기최종구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장과 윤석헌 금감원장 모두 '위와 원은 협조 관계'라고 진화해 왔으나 안팎에서 '해체'까지 언급되면서 공허해졌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