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건설사들의 중동 기대감은 불과 6개월 만에 사라졌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제재 복원과 기준금리 인상 행보가 이어지면서 해당 지역 발주량이 기대만큼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8월 이란 제재 복원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서명을 통해 국내 건설사들은 더 이상 이란을 신시장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지난 2015년 하반기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맺었던 핵협정이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이란은 건설업계 해외 사업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됐었다. 특히 금융제재가 해제될 경우 이 지역 SOC 사업 수주가 확대될 것으로 바라봤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이란을 비롯한 중동 지역 수주를 위해서는 금융비용도 건설사가 부담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월 이란 제재 복원 행정 명령에 서명함에 따라 올해 초와 같은 중동 지역 기대감은 높지 않다”고 말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짐에 따라 유가 상승효과도 상쇄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2.00~2.25%다. 우리나라 1.50%보다 0.75%포인트 높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오는 12월 한 차례 더 인상과 함께 내년에 3차례 더 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