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모바일 직불결제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고 나섰다. 높은 신용카드 네트워크 장벽에 맞서 저비용 직불로 모바일 시대 결제시장에 도전장을 내고 있다.
한국은행 부총재를 의장으로 금융기관 등 28개 기관으로 구성된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는 지난달 말 앱투앱(App-to-App) 방식으로 결제하는 은행계좌 기반의 모바일 직불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기로 의결했다.
직불카드 가맹점주와 고객이 스마트폰 앱을 설치해 결제정보를 교환하고 구매자 계좌에서 대금이 인출·지급되는 방식이다. 올해 안에 QR코드, 금융기관 거래 전문 형식 및 송·수신 방식, 보안기능 등 관련 기술 표준을 개발하고 모바일 직불서비스 앱 플랫폼 구축을 마칠 계획이다. 은행권은 내년 상반기께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그러나 수수료 절감이 가능하다는 면에서 직불 결제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폰을 활용해 POS 같은 별도의 단말기가 필요 없고, 결제 과정의 중계·대행 단계를 축소·생략할 수 있어서 비용을 낮춘다. 판매자 입장에서도 실시간으로 구매자 계좌에서 인출·지급하면 다음날 바로 가맹점에 입금되는 방식이라 환영하고 있다.
이번에 기술표준이 만들어지면 최근 정부와 일부 지자체가 추진중인 ‘소상공인페이(제로페이)’ 등 인프라로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한국은행은 이번 표준으로 국내 모바일 지급서비스간 호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익숙한 후불사회…인센티브 관건
당장 신용카드를 대체할 만큼 파급력을 갖기는 힘들 것이라는 게 은행권의 대체적인 분위기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신용 후불 사회로 신용으로 거래하고 급여일에 결제가 되는 생활패턴을 바꾸기 쉽지 않을 것 같다”며 “무엇보다도 모바일 직불 서비스는 오프라인 결제 편의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실제 은행계좌 기반 모바일 직불결제를 하려면 구매자들은 스마트폰을 꺼내서 앱을 실행해야 하고, 생체인식 같은 비밀번호도 입력해야 한다.
판매자 가맹점 역시 그사이 앱을 구동해야 한다. 지갑에서 꺼내 바로 간편하게 결제하는 신용카드보다 절차가 복잡하다는 점은 분명하다.
은행권이 ‘한 목소리’를 내야 하는 점도 한계로 거론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A은행을 거래하는 가맹점과 A은행을 거래하는 구매자 사이 결제는 의미를 갖기 어렵다”며 “은행간 배타적 이해관계 때문에 추진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내다봤다.
또다른 은행 관계자도 “결제 사업자들은 시중은행들과 계약을 통해 결제와 정산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시장 진출이 가능했다”며 “은행이 연합해서 결제 서비스를 개발하지 않는 이상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은행권은 우선 직불 결제의 효용성 측면에서 주목하고 있다. 계좌 범위 내에서 합리적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점은 직불 서비스의 장점으로 꼽힌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계좌 없이도 결제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선불계정 기반 모델이 확산되면서 은행권이 대응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됐다”며 “은행만이 가능한 직불결제 사업 확대를 통해 가맹점·고객과의 접점을 유지하는 게 당면과제라고 본다”고 전했다.
경쟁력도 있다는 분석이다. 또다른 은행업계 관계자는 “대형 사업장을 대상으로 볼 때 은행권은 신용카드사나 페이사의 카드보다 낮은 가맹점 수수료를 제고할 수 있다”며 “은행마다 운영하는 뱅킹앱을 통해 고객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점도 은행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한 은행업계 관계자는 “온라인 결제에서는 결제절차가 신용카드와 크게 다를게 없기 때문에 많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센티브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신용카드 네트워크도 소득공제 등 인센티브를 통해 성장했다”며 “인센티브와 함께 편의성을 고려해 시장에서 반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