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삼성생명의 치아보험은 건치 고객을 대상으로 보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상품성으로 출시 하루 만에 2만5000건의 판매고를 올리며 흥행하기도 했다. 이 상품은 생명보험협회로부터 6개월 간의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하기도 했다.
이처럼 치아보험이 뜨거운 인기를 끈 것은 IFRS17 도입을 앞두고 보장성보험 판매 확대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치아질환 발생 빈도와 임플란트 시술 빈도 등이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의 치아보험 니즈가 늘어남에 따라 치아보험 시장이 더 커질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를 토대로 올해 치아보험 시장이 최대 2조 원대 이상으로 급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초창기 라이나생명이 치아보험을 출시했던 당시에 비해 손해율 데이터도 확보되면서 수익성이 안정됐다는 점도 치아보험 흥행에 힘을 더했다. 초창기 치아보험의 손해율은 150% 이상의 높은 손해율을 기록했으나, 최근에는 100% 이하로 떨어지면서 큰 폭으로 손해율이 개선되고 있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치아보험 출시 초기에는 상품 출시 및 판매 경쟁이 지나치게 과열되면서, 일부 보험사들이 설계사와 GA에 600%대의 높은 인센티브를 내걸며 시장경쟁을 과도하게 촉진하고 있다는 우려를 샀다. 경쟁이 과열되면 무분별한 판촉으로 불완전판매가 늘고, 이 경우 보험료가 크게 상승해 피해가 소비자들에게 고스란히 전가될 수 있다는 지적이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최근에는 그런 인센티브 경쟁이 많이 줄어들어 금융당국 권고 기준 안에서 자연스러운 경쟁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