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KEB하나은행의 '원큐 애자일랩(1Q Agile Lab)'은 자산관리(WM) 부문에서 스타트업 기술을 적용해 개발한 서비스를 도입한 점이 눈에 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말 명동사옥 확대 이전과 함께 기존 '원큐랩(1Q Lab)'을 '원큐 애자일랩(1Q Agile Lab)'으로 브랜드명을 변경하며 한 단계 업그레이드를 시도했다.
지난 2015년 6월 문을 연 뒤 '원큐 애자일랩'은 2년반 동안 5기에 걸쳐 31개 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해 협업 서비스를 출시했다.
KEB하나은행은 '원큐 애자일랩'에 지금까지 직접투자로 20억원을 집행했고, 간접투자(60억원)도 운용하고 있다.
지난해만 봐도 12건의 협업 사업을 추진했다.
지원받은 대표 핀테크 기업으로는 10억원을 직접 투자받은 인공지능(AI) 기업 '마인즈랩'이 있다. KEB하나은행은 이 기업의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접목해 대화형 금융플랫폼 ‘HAI뱅킹’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KEB하나은행 '하이 로보' / 자료사진= KEB하나은행(2018.01)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자산관리)와 ‘HAI로보’ 자산관리서비스 개발과 도입을 마치기도 했다.
내담네트웍스(O2O플랫폼)와 오토론 사업 협업 플랫폼 시장에 나섰고, 코노랩스와 AI 기반 상담일정 스케쥴링 서비스를 선보였다.
KEB하나은행 측은 "스타트업의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상생 협업을 구축했고, 유망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 앞으로 적극적인 초기단계 직접 투자를 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병행했다"고 설명했다.
KEB하나은행은 3월 중 10여개사로 구성된 '원큐 애자일랩' 6기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