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하반기부터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건설사들의 올해 해외 수주가 늘어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제기됐지만, 트럼프닫기

이에 따라 건설사들이 중동·동남아가 아닌 유럽·아프리카 등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올해 건설사들이 해외수주 초점을 ‘동남아’ 시장으로 전환했지만, 이에 안주하고 신 시장 개척에 소홀히 한다면 또다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중동 플랜트 등 한 지역에만 집중한다면 어떤 변수가 발생했을 때 최근처럼 급격한 실적 하락을 경험할 수 있다”며 “수익성을 떠나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는 유럽 등 여러 국가로 국내 건설사들이 진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형 건설사 한 관계자는 “국내 건설사들은 글로벌 탑 수준의 원전 건설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수출은 지난 2009년이 처음이었다”며 “플랜트·SOC 외 다양한 건설 공사 수주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대림산업·SK건설이 수주한 ‘터키 차나칼레 현수교’ 공사, 지난해 12월 SK건설이 수주한 ‘파키스탄 수력발전사업’ 등 수주 공사가 다각화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이런 행보가 더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