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책과 10.24대책의 첫 번째 목표는 다주택자 중심으로 전체 대출 증가율은 둔화시켜도 청년층과 실수요자들의 대출 접근성은 개선하는 것”이라며 “두 번째 목표는 부동산임대업대출의 리스크관리 강화”라고 말했다.
백 연구원은 “신DTI와 DSR의 주택담보대출 계산 방식은 똑같으며 일시상환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최대 대출기간을 10년으로 가정해 일시상환액의 10분의1을 연간 원리금 상환액으로 간주한다”며 “다만 현실상 주택담보대출 만기가 10년을 훨씬 초과하는 것을 고려하면 차주 입장에서 일시상환 방식보다는 분할상환 방식이 더 유리하다”고 진단했다.
분할상환 방식을 유도하는 정책의 방향성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그는 “이번 대책은 10.24 대책 때 윤곽을 드러냈던 내용들이지만 새로웠던 것은 부동산임대업대출에 대해 당국이 생각보다 리스크관리 의지가 강하다는 점”이라며 “현재 3대 시중은행의 3분기 누적 소호대출 증가율이 9.3%로 과거 추세 대비 급격하게 성장한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를 종합해 가계부채의 연착륙과 중소기업 대출의 정상화를 이미 반영했던 기존 대출 성장 전망치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