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제주항공은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883억 원과 영업손실 550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465억 원 흑자에서 적자로 돌아섰다.
일본 노선에서도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일본 지진설 여파로 지난해에 비해 여행 수요가 둔화됐고, 추석연휴가 10월로 넘어가면서 3분기 수요가 부산된 점도 실적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제주항공은 기단 현대화를 통한 체질개선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2023년 차세대 항공기 B737-8 두 대를 구매 도입한 데 이어, 올해 계획한 여섯 대의 B737-8 구매 도입을 모두 완료했다. 현재 제주항공이 보유한 43대의 항공기 중 차세대 기종은 18.6%를 차지하며, 구매기 비중은 기존 B737-800NG 5대와 B737-8 8대를 포함해 30%까지 확대됐다.
제주항공은 노후 항공기를 반납하고 신규 항공기를 구매 도입하는 방식으로 운용 구조를 전환해 연간 약 14%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기단 현대화와 구매기 비중 확대를 통한 체질개선으로 차별화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라며 "지속가능한 이익구조를 갖춰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실적 개선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혜주 한국금융신문 기자 hjs050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프로필] 유경상 SKT AI CIC장](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031165937027857fd637f543112168227135.jpg&nmt=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