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5.10.13(월)

DQN전북은행, 예금금리 인하폭 ‘최대’…부산은행 예대금리차 ‘최저’ [새정부출범 전후 예대금리차 비교]

기사입력 : 2025-10-13 05:0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예대금리차 최저는 부산·iM·경남 순
지방은행, 건전성·수익성 방어 이중고

[DQN] 전북은행, 예금금리 인하폭 ‘최대’…부산은행 예대금리차 ‘최저’ [새정부출범 전후 예대금리차 비교]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우한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지방은행의 대출금리 인하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하면서 지방은행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전북은행은 지난 8월 말 기준 예대금리차가 5.38%p로 가장 높아 압박의 최전선에 놓였다.

시중은행보다 높은 예대마진 구조로 대출 금리인하 요구를 받는 데다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과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까지 겹치며 지방은행들은 건전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방어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대통령 지시에 대출 금리인하 압박↑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지방은행에 대출금리 인하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하면서 금융당국이 지방은행 우대금리 현황 점검에 착수했다. 이 대통령은 “지방은행이 제 기능을 못 하고 있다”며 직접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지방은행은 시중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예대마진이 높아 대통령 발언 이후 금리인하 압박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은행권을 향해 “이자놀이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투자 확대에 나서라”며 경고를 이어가고 있다.

예대마진에 의존해 온 전통적 영업 모델에서 벗어나 실물경제를 지원하는 생산적금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예대금리차 최고 전북銀, 최저 부산銀
은행연합회 예대금리차 비교 공시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예대금리차는 전북은행이 5.38%p로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은행 2.73%p ▲제주은행 2.28%p ▲경남은행 2.05%p ▲iM뱅크 1.82%p ▲부산은행 1.55%p 순으로 나타났다.

전북은행은 이재명 정부 출범 전후로 예대금리차가 꾸준히 높았다. 5월 말 4.77%p에서 6월 말 5.83%p, 7월 말 5.64%p, 8월 말 5.38%p로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가계예대금리차도 같은 기간 6.48~7.30%p 수준을 기록했다. 정책서민금융 제외 가계예대금리차도 5.86~6.30%p로 높은 편이었다.

전북은행 측은 ‘중저신용자와 다중채무자 비중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대출금리 인상과 동시에 예금금리도 크게 낮아져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은행의 여신금리는 금융당국의 대출금리 상승 억제 기조에도 불구하고 5월 말 7.47%에서 8월 7.85%로 정부 출범 전보다 높아졌다.

지난 6월에는 8.32%까지 오르기도 했다. 반면 저축성 수신금리는 2.70%에서 2.47%로 0.23%p 떨어져 은행권 최대의 낙폭을 보였다.

제주은행은 5월 말 4.02%p였던 예대금리차가 8월 말 2.28%p로 크게 줄었다. 가계예대금리차도 5.23%p에서 3.49%p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대출금리가 6.60%에서 4.84%로 크게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남은행의 예대금리차는 5월 말 1.95%p에서 8월 2.05%p로 소폭 상승했으나 절대적 수치는 양호한 편이다. 가계예대금리차는 2.45%p에서 2.44%p로 줄었으며 정책서민금융 제외 기준도 2.35%p를 기록했다.

iM뱅크는 8월 말 기준 예대금리차가 1.82%p로 5월(1.60%p) 대비 소폭 올랐다. 대출금리는 4.20%에서 4.27%로 상승했으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정책서민금융 제외 가계예대금리차는 1.32%로 전월 대비 0.13%p 줄었다.

부산은행은 5월 말 1.81%p에서 8월 말 1.55%p로 예대금리차가 줄어 지방은행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가계예대금리차도 1.90%p에서 1.49%p로 하락했다.

특히 대출금리가 4.42%에서 4.02%로, 기업대출금리도 4.39%에서 4.11%로 지속적으로 낮아져 생산적 금융 측면에서 기여도가 크다는 평가다.

구조적 요인에 예대금리차↑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1%대 초중반에 머무는 데 비해 지방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과거에는 고금리 정기예금이나 지역 이벤트와 연계한 특판 상품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사라졌다.

지방은행이 시중은행보다 예대금리차가 크고, 더 높은 금리로 대출을 취급하는 것은 지방 영업환경의 특성 때문이다.

지방의 경우 차주의 소득수준, 신용등급 등이 수도권보다 낮은 경향이 있는데,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은 연체 위험이 커 여신금리노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기업여신의 경우도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지역 중소기업 비중이 크다보니 계속해서 금리가 오르게 된다는 설명이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여신금리를 낮추려면 중저신용 차주에 대한 여신 자체를 줄여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특히 은행연합회 공시자료는 각 신용등급 구간별 은행의 대출 비중은 알 수 없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높을수록 예대금리차가 과대하게 나타나는 구조적 한계도 있다.

연체율 부담·규제 압박 이중고
지방은행 예대금리차 지적에 앞서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경기 불황으로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높아져 건전성 관리가 어려워진 데다 정부의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 이후 시중은행보다 수익성 방어에 더 큰 부담을 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 상반기 기준 지방은행의 연체율은 ▲전북은행 1.58% ▲경남은행 1.02% ▲부산은행 0.94% ▲제주은행 0.93% ▲광주은행 0.76%로 집계됐다. 이는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평균 0.34%보다 높은 수준이다.

지방은행들은 연체율 상승에 대응해 리스크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나 경기둔화가 이어질 경우 지역 기업의 상환 여력이 더욱 약화돼 자산건전성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우한나 한국금융신문 기자 hanna@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우한나 기자기사 더보기

금융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