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그룹은 최태원닫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오픈AI를 중심으로 대규모 글로벌 AI DC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HBM용 D램 웨이퍼 기준 월 최대 90만장 규모 HBM 공급 요청에 적기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월 90만장은 HBM 제품 기준으로 환산했을 때 현재 D램 웨이퍼 생산량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더불어 SK하이닉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오픈AI의 가속기(GPU) 확보 전략 실현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대규모 DC 구축·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오픈AI와 MOU를 체결하고, 한국 서남권에 오픈AI 전용 AI DC를 공동 구축해 ‘한국형 스타게이트’를 실현한다.
양사 협력은 AI DC를 기반으로 기업소비자간거래(B2C)·기업간거래(B2B) AI 활용 사례를 발굴하고, 나아가 차세대 컴퓨팅과 데이터센터 설루션의 시범 운용까지 이어진다. SK그룹은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 통신·전력 인프라와 반도체 기술, 그리고 풍부한 AI 수요를 바탕으로 글로벌 AI 혁신의 테스트 베드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도 SK와 오픈AI 협력을 적극 지원한다. SK그룹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가 한미 간 AI 경제 동맹을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최태원 회장과 샘 올트먼 CEO는 2023년부터 긴밀히 협력하며 AI 인프라 미래를 함께 설계해왔다. 양측은 AI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워크로드 폭증에 대비해 전용 반도체 개발과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에 깊이 공감하며, 하드웨어 병목 없는 차세대 AI 모델 개발을 위한 새로운 메모리-컴퓨팅 아키텍처 등 혁신적 AI 인프라 공동 개발을 논의해왔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은 칩 개발부터 데이터센터 구축·운영까지 전 주기에 걸친 기술 혁신 협력의 본격적 출발점으로, 글로벌 AI 생태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SK 관계자는 “SK는 글로벌 AI 대전환 시기를 맞아 핵심 플레이어로서 시장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빅테크 협력과 관련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K-AI 생태계 확장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SK그룹은 AI를 새로운 성장축으로 삼아 사업 포트폴리오를 혁신 중이다. 올해 8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SK AI DC 울산’ 기공식을 여는 등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
[관련기사]
- SK Innovation targets 2nd-half turnaround under Jang Yong-ho leadership
- 롯데SK에너루트, 수소발전소 울산하이드로젠 파워 2호 준공
- '장용호 체제' SK이노, 재무체력 키우고 하반기 실적 승부수
- SKT, SK그룹 25개사에 AI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 확대 도입
- 기관 'NAVER'·외인 '삼성전자'·개인 'SK하이닉스' 1위 [주간 코스피 순매수- 2025년 9월22일~9월26일]
- 유영상 SKT 대표 “‘AI 사내독립기업’ 출범…5년간 매출 5조”
- SKT 유영상 “국대 AI 사명감으로 국민 일상 속 AI 위한 최고 수준 모델 개발할 것”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