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7월 서울 오피스텔 거래 건수는 8945건으로 나타났다.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7986건)보다 12.0%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2022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로 아파트 거래가 급감한 것과 차이를 보인다.
한국부동산원 매매가격 지수도 올해 들어 상승 전환하며 2년간 이어진 하락세를 끊었다. 특히 종로·중구·용산 등 도심권이 가격 상승을 주도하며 시장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직장 수요가 많은 지역의 오피스텔은 단기간에 수천만원이 오르는 모습까지 나타났다.
이 같은 배경에는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에서 비롯됐다. 정부는 6·27 대책을 통해 수도권 아파트와 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주택을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하고, 주택 매수 시 6개월 내 전입 의무를 부과했다. 이어 9·7 대책에서는 다주택자의 신규 주택담보대출을 사실상 차단하는 방안까지 포함했다.
잇단 규제는 아파트 시장을 정조준했지만, 오피스텔은 주택법상 '준주택'으로 분류돼 규제 대상에서 빠졌다. 이에 대출 한도 제한이나 전입 의무에서 벗어났고 최근 도입된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서도 제외되면서 오피스텔 시세와 거래량이 증가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일각에선 정부 규제 강화로 오피스텔이 투자처로 떠오르긴 했지만, 지역마다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신중해야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서대문구 한 공인중개사는 “정부 규제에 오피스텔이 빠져 나가면서 문의는 들어오고 있는 상황은 맞다"며 ”투자적인 측면에서는 눈길을 끌지만, 강남·용산·종로 등 지역 외에는 사실상 투자처로도 잡기 힘들고, 추후 매매 수요가 적어졌을 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