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프리 시드 라운드는 미국의 세락 벤처스가 리드한 포도노스의 첫 기관 투자 유치로, 국내에서는 네이버 D2SF와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가 함께 참여했다.
또한 단순 발음 정확도뿐 아니라 억양, 감정 표현, 페르소나, 선호도, 노이즈 등 평가 요소가 다양해 특정 수요에 적합한 AI 모델을 탐색하려는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포도노스는 전 세계 15만 명의 평가 인력과 자체 개발한 AI 자동화 솔루션을 활용해, 고객의 요구를 고려한 음성 AI 모델 평가 결과를 12시간 내에 제공한다.
포도노스 고객은 AI 밸류체인에서 ▲AI 모델 개발 기업 ▲AI를 활용해 서비스를 만드는 기업 모두를 아우른다. AI 모델 기업은 성능 입증 및 개선 도구로, AI를 활용하는 기업은 목적과 타겟에 최적화한 모델 탐색 및 모니터링 도구로 포도노스 솔루션을 활용 중이다.
포도노스는 리셈블 AI, 플레이 AI, 사나스 AI 등 글로벌 AI 스타트업들로부터 가치와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테크 전문 커뮤니티·미디어에서도 포도노스의 평가 결과를 인용하고 있다. 향후 포도노스는 헬스케어·금융·게임·광고 등 음성 AI 수요가 다양한 분야 중심으로 고객사를 확장하는 한편 여러 모달리티로 평가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AI 모델이 쏟아지는 가운데 AI를 잘 활용하기 위한 AI, 즉 AI를 위한 AI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며 “포도노스는 음성 AI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 및 검증하는 희소한 팀으로, 음성 AI 성장과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확고히 다지는 한편 네이버와도 협업 시너지가 클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