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는 24일 경기도 판교 넥슨 사옥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 2025 (이하 NDC 25)’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박 대표는 넥슨코리아 빅게임본부 총괄을 겸하며 다양한 장르 대형 게임 개발을 이끌고 있다.

그러면서 박 대표는 최근 PC 라이브 서비스, 모바일, 패키지 시장 모두 정체에 빠져 위기를 맞은 상황을 꼬집었다.

패키지 게임 시장도 모바일과 별반 다를 바 없었다. 박 대표는 “정체된 시장에서 제로섬 게임을 해야 하는 다른 시장보다는 수월할 수 있다”면서도 "요즘엔 질적 경쟁이 치열해지고 개발 비용도 폭증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박 대표는 “개발비 1조2000억원을 회수하려면 마케팅비를 포함해 2000만장 이상 팔아야 겨우 본전을 맞춘다"며 "개발비가 치솟고 있으니 기존 강자들도 한두 개 게임만 흥행에 실패하면 크게 휘청거리는 상황이 왔다"고 덧붙였다.

특히 박 대표는 더 넓은 시장으로 나가기 위해 기존과 다른 개발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여태까지 우리는 개발에 집중하며 게임 본연 퀄리티를 올리고, 출시일이 잡히면 실제 게임으로 트레일러를 만드는 것이 개발자 입장에서 효율적이었다”며 “론칭 2개월 전부터 마케팅으로 승부를 보는 스타일은 땅이 좁고 서울 중심 인구 밀도가 높은 한국에서는 적용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우리가 나가야 할 미국이나 유럽은 더 많은 사람들이 넓은 땅에 골고루 퍼져 있다”며 “빅게임 개발을 위해 기존 게임 기획, 개발 문법에서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개발 조직을 운영하는 데도 새로운 전환을 요구했다. 소규모 조직은 응집력은 좋지만 개발력을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규모를 키우되 공통 목표를 제대로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트레일러는 게임 출시 전 마케팅 차원에서 주로 활용된다. 박 대표는 마케팅 차원에서 벗어나 게임 개발 등 모든 과정을 공개함으로써 개발 구성원들의 방향성을 공유해야 한다는 의미다.
박 대표는 “트레일러는 보여주고자 하는 게임이 어떤 게임인지, 목표로 하는 퀄리티가 어느 수준인지 영상으로 바로 보여줄 수 있어 비전을 통일하기 쉽다"며 “인력을 채용할 때도 영상(트레일러)을 보여주면 실제 (제작을) 할 줄 알거나, 최소한 (트레일러를) 좋아하고 만들고 싶은 사람들이 모이니까 퀄리티를 높이기에도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