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교보증권은 올 1분기 당기순이익 517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61.6% 증가했고, 현대차증권은 89.3% 늘어난 193억 원, 한양증권은 57.6% 증가한 210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다올투자증권은 94억 원의 순이익으로 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iM투자증권은 무려 여섯 분기 만에 273억 원의 흑자를 내며 실적 반등 대열에 합류했다.
PF 대출 관련 충당금 부담이 줄어든 점도 주요 요인이다. 지난해 대규모로 적립됐던 충당금이 올해 들어서는 일부 환입되거나 추가 적립 부담이 줄면서, 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증권가에선 이 같은 실적 개선세가 하반기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선 의문을 제기하는 분위기다. 부동산 PF 시장의 구조적 리스크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며, 중소형 증권사 대부분은 소매 기반이 약해 시장 충격에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운용과 트레이딩에서의 수익이 실적을 떠받치고 있으나, 이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흔들릴 수 있는 일회성 요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중소형 증권사들이 1분기 실적을 통해 일단 ‘한숨 돌리기’에는 성공했지만, 하반기에도 이 기세를 유지하기 위해선 보다 안정적인 수익 구조 확보가 필수적이다. PF 익스포저 구조조정, 리테일 경쟁력 강화 등 근본적인 체질 개선 없이는 반등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은 계속될 전망이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