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오는 2027년 국내 전체 가구 중 1~2인 가구의 비율은 약 67.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불과 5년 전인 2022년 대비 5%포인트가 증가한 수치로, 우리 사회의 주거 수요가 과거와는 확연히 달라졌음을 시사한다.
거래 통계도 이 같은 흐름을 뒷받침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약 45만건이었고, 이 중 소형 아파트(전용 60㎡ 이하)는 17만6492건에 달했다. 전체의 약 40%에 육박하는 수치로, 같은 기간 소형 공급 비중이 약 27%에 그쳤던 것을 고려하면 수요가 공급을 압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형 타입의 인기는 청약시장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지난해 말 서울 강서구에서 분양된 '힐스테이트 등촌역'에서는 전용 59㎡ 타입이 42.93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동일 단지의 84㎡ 타입(18.37대 1)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실거주를 원하는 수요층의 선택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한 업계 전문가는 “소형 아파트는 지금의 주거 흐름에서 가장 실질적인 수요가 몰리는 세그먼트”라며 “신혼부부, 1인 청년층, 은퇴한 고령층까지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수요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급이 제한된 현시점에서는 수요는 높을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 가운데, 최근 소형 아파트가 신규 공급을 앞두고 있어 시장과 수요자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은 고양시 덕양구 일원에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17개 동, 전용면적 39~84㎡ 총 2,601가구 규모의 '고양 더샵포레나'를 분양 중이다. 이 중 636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공급 중이고, 최근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59㎡ 타입이 전체의 약 75%를 차지한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