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김 부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 추진 성과 및 향후 과제’ 세미나에서 “정부는 자본시장이 국민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상생의 플랫폼이 되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그간 추진해 온 선진화 정책들이 이제 점차 시장에 안착하며 구체적인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는 자본시장연구원이 주최하고,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국민연금공단, 미래에셋자산운용, 미즈호은행, S&P글로벌, 학계 등 주요 기관과 전문가들이 참석해 자본시장 선진화 방향을 논의했다. 김 부위원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자본시장 접근성 제고, 주주 권익 보호,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 금융산업 역량 강화 등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총 30여 개의 세부 과제가 추진돼 왔다고 밝혔다.
그는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와 영문공시 확대 등 시장 접근성 개선의 성과를 언급하며 “2024년 외국인 계좌 개설 건수는 전년 대비 약 4배 증가했고, 영문 공시도 약 58% 증가하는 등 자본시장의 글로벌 개방성과 신뢰가 한층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3월 출범한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에 대해서는 “복수시장 구조가 이제는 개념을 넘어 실질적인 거래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평가하며, “자본시장의 경쟁 구조를 통해 효율성과 선택권이 동시에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김 부위원장은 일반주주 보호를 위한 각종 제도 개선 사항도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물적분할 시 자회사 상장 요건을 강화하고, 내부자 거래 사전 공시, 전환사채 공시 강화, 자사주 활용 제한 등 시장의 우려를 줄이기 위한 장치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며 “단순한 규제가 아니라 투자자 보호와 신뢰 회복을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국내 자본시장은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강한 회복력을 보이고 있고, 국민들의 금융자산에 대한 관심과 보유 규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지만, 지금 이 시점의 제도 개선 노력이 그 기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선진시장으로 가기 위한 여정은 단기 과제가 아니라 구조를 바꾸는 장기 과제이며, 금융당국은 시장과 함께 그 여정을 흔들림 없이 걸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