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의원들은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는 긴급현안질의 당시 국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사재출연을 포함한 책임있는 방식으로 유동화 채권에 대해 100% 변제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지난달 21일 홈플러스도 입장문을 통해 유동화 채권 전액 변제 약속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그 약속은 시간이 지날수록 ‘조건부 변제’라는 형식으로 퇴색해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광일 대표는 지난달 20일 회생법원에서 홈플러스와 3개 카드사(롯데·신한·현대) 간 비공개 심문 과정에서 ‘최장 10년 분할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원들은 “이게 사실이라면 이는 당초 ‘100% 변제’ 약속을 실질적으로 뒤로 미루겠다는 뜻이다. 이는 결국 무책임한 시간벌기일 뿐이며 국민을 기만하는 처사”라며 “공공성과 신뢰를 기반으로 해야 할 대형 유통기업의 사회적 약속을 스스로 저버린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 대국민 약속을 이렇게 모호하게 미룬 채 방치하는 상황에서, 국회가 청문회를 통해 진실을 밝히고 책임을 따져 묻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실질적 대주주로서 김병주 회장은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지금의 상황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책임 있는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원들은 “국회는 더 이상 홈플러스의 책임 회피를 좌시할 수 없다. 진정성 없는 조건부 약속으로 국민을 기만하는 이 행태가 계속된다면, 이는 국회의 직무유기이며 국민의 권리를 저버리는 일이 될 것”이라며 “홈플러스와 대주주 김병주 회장은 사재출연 계획을 포함한 구체적인 재원마련 방안을 오늘 4월 10일까지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에 대한 국회 청문회를 조속한 시일내에 개최해 줄 것을 여당에 촉구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