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각 사업분야의 시너지 덕에 VAN 사업 시장 점유율 1위, PG 상위 3-4위를 지키면서 매출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나이스정보통신의 지난해 총 영업수익(매출액)은 9751억원으로 2022년(8048억원)과 2023년(8916억원)에 이어 상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 티몬·위메프 사태로 티몬과 위메프라는 대형 가맹점을 상실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 감소로 이어지지 않았다.
VAN·PG 모두 상위권 안착…TRS로 성장 가속화

PG 매출은 업계 1위인 NHN KCP(1조340억원)와 토스(8165억원), KICC(7550억원), KG이니시스(6764억원)에 이어 4위 수준으로 분석된다.
주요 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 T2, 김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과의 단독 계약, 코로나19 이후 휴가·연말·명절 특수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매출이 큰 건 지난해 2961억원(30.36%)의 매출을 낸 VAN이다. 나이스정보통신의 VAN 점유율은 27.8%로 지난 2014년부터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자체 IDC·DR센터를 구축해 대량의 실시간 데이터와 민간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1위의 비결로 꼽힌다.
주요 승인 시스템으로 최신 장비인 IBM Power10 기반 IBM E1050, 백오피스 시스템으로는 오라클 엑사데이터 X9M을 사용해 24시간 무중단 운영하고 있다는 것도 나이스정보통신의 강점이다.
시장 점유율 '유지' 과제…수수료율 인하 리스크 극복해야

VAN 사업은 단말기 교체 등 산업 특성상 타 산업보다 빠른 전환이 어렵다. 하지만 공격적 영업력, 앞선 기술력, 높은 보안수준 등을 통해 타사와의 격차를 넓혀야 한다.
지난해 나이스정보통신의 VAN 처리 건수는 70억2100만건으로 전체 VAN사 처리 건수(252억8600만건)의 27.8%에 달했다. 점유율은 2020년 20.7%에서 2024년 27.8%로, 처리 건수는 39억건에서 70억건으로 증가했다.
다만 연이은 카드수수료 인하로 VAN피가 줄어들면서 상황은 녹록치 않다. 카드사와 가맹점 간 직승인 확대로 PG사와 VAN사가 설 자리를 잃을 수 있단 우려가 나오면서다. PG·VAN사는 카드사-가맹점 사이에서 결제대행 역할을 해왔지만, 직승인이 늘자 생태계 존립이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 2018년 VAN 수수료가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바뀌면서 VAN 대리점의 수익성은 더욱 고꾸라지고 있다.
기존엔 고객이 가맹점 단말기에서 카드를 긁으면 결제금액과 상관 없이 결제 건당 최대 150원의 수수료가 VAN사에게 돌아갔지만, 카드사 수수료가 낮아지면서 VAN 수수료도 함께 줄어든 것이다.
김하랑 한국금융신문 기자 rang@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