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통신 3사에 따르면 지난 12일 공정위가 판매장려금 담합 혐의로 부과한 과징금에 반발하며 행정소송을 예고하고 있다. 통신 3사는 한목소리로 “방통위의 단통법(이동통신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 집행에 따랐을 뿐 담합은 없었다”며 “공정위 의결서를 받는 데로 법적 대응을 검토해 갈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공정위는 담합의 근거로 KAIT(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통신 3사가 운영한 ‘시장상황반’이다. 통신 3사가 시장상황방을 통해 MNP 순감, 신규 단말기 판매현황 등을 공유하며 담합을 진행했다는 것이다.
다만 이번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를 두고 정부 부처 간 자존심 싸움 때문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애초 공정위가 해당 혐의를 조사할 때부터 공정거래법과 단통법 간 이해충돌 문제가 예견됐다. 이 때문에 공정위와 과방위 간 면밀한 검토,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여기에 법률 해석상 일반법(공정거래법)보다 특별법(단통법)이 우선 적용되는 만큼 조사 기간 동안 공정위와 방통위 간 알력 싸움이 지속됐다.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지난 5일 국회 현안질의에서 “통신 3사는 단통법을 준수했을 뿐”이라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취했던 통신사들의 행위가 과도하게 단죄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반대입장을 밝혔다.
방통위가 ‘담합이 아니다’라는 의견서까지 제출했지만, 공정위는 결국 담합 행위로 규정하고 과징금을 부여했다. 공정위는 통신 3사가 방통위의 규제를 벗어나 MNP 순증감 건수를 조정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공정위가 주장한 규제 밖의 행위가 어느 수준까지 잘못인지에 대한 의문과 지적이 쏟아졌다.
공정위의 독단과 방통위의 안일함에 결국 통신 3사만 피해를 보는 형국이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정부 부처 간 엇박자와 자존심 싸움으로 인한 ‘반기업적’ 처사라고 비판하고 있다.
안정상 전 더불어민주당 정보통신·방송미디어 수석전문위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통신 3사는 방통위가 내린 행정지도에 따른 죄 밖에는 없다”며 “방통위가 직접 입장을 밝혔는데도 일반 경쟁법을 적용해 이통 3사에 과징금 부과를 결정한 것은 부당하고 권한남용이자 월권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애초 공정위가 수조원대 과징금을 주장했지만 결국 예상 대비 쥐꼬리 만큼의 규모로 과징금 규모를 낮췄다”며 “이는 담합행위가 성립되지 않는다는걸 알면서도, 없었던 일로 하고 다시 주워담자니 비난만 거셀질거 같아 할 수는 없이 과징금을 최소한으로 낮춰 부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안정상 전 수석은 “담합행위가 인정된다면 통신 3사는 단통법 위반 및 전기통신사업법 상 금지행위 위반으로 과징금을 부과받을 것”이라며 “결국 통신 3사는 이중규제를 맞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재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rlqm9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