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5.02.05(수)

제임스 박 롯데바이오 대표 "ADC 플랫폼 개발…원스톱 서비스 제공"

기사입력 : 2025-01-17 10:01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16일(현지시간) JPMHC에서 발표하는 제임스 박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이미지 확대보기
16일(현지시간) JPMHC에서 발표하는 제임스 박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한국금융신문 김나영 기자]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자체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솔루플렉스 링크(SoluFlex Link)'를 공개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이하 JPMHC)에 '아시아태평양'(APAC) 트랙 발표 기업으로 참가해 이 같은 내용을 소개했다고 17일 밝혔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 중인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는 제약바이오 업계 최대 규모의 투자 행사다.

제임스 박 대표는 이번 발표에서 뉴욕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의 성공적인 CDMO 전환과 송도 바이오 캠퍼스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자체 개발한 ADC 플랫폼 솔루플렉스 링크를 공개하고, 북미 내 완제의약품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ADC 원스톱 서비스(One-stop Service)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글로벌 CDMO 시장에서의 도약을 가속화하겠다는 포부다.

솔루플렉스 링크는 롯데바이오로직스와 약물융합기술 기반 바이오 벤처인 카나프테라퓨틱스가 공동 개발한 독자적인 링커 기술이 적용된 ADC 플랫폼이다. ADC 치료제의 주요 단점인 불안정성을 개선하며, 다양한 항체와 페이로드에 활용 가능해 ADC 신약 개발사가 이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연구개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롯데바이오로직스는 기대했다. 또 생산 수율과 치료 효율을 동시에 높여줄 수 있어 차세대 ADC 개발·생산에 최적화된 솔루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의 경우 지난해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 실사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정기 감사에서도 지적 사항 없이 무결점 품질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고 했다. 박 대표는 "공장 인수 후에도 고품질의 생산시스템을 유지하며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서 역량을 갖춘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회사는 지난 해 3월 송도 바이오 캠퍼스 1공장 착공을 시작, 10억 달러를 투자해 건설 중이다. 2027년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을 목표로 했다.

박 대표는 "올해 완공 예정인 송도 바이오 캠퍼스 1공장은 최적화된 운영 시스템을 갖춘 유연한 대규모 생산 시설이 될 것"이라며 "생산 공정 자동화와 첨단 제조 기술이 적용된 시설, 송도와 뉴욕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운영 효율을 극대화해 고객 만족은 물론 품질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 신유열 부사장도 지난 2023년 말 부임 이후 처음으로 JP모건 콘퍼런스에 참석했다. 신 부사장은 로슈, 존슨앤존슨(J&J), BMS 등 발표 세션에 참석해 제약·바이오 트렌드를 파악했다. 또 제임스 박 대표와 함께 글로벌 제약사 및 잠재 고객사와 비즈니스 및 파트너십 미팅에 나섰다.

김나영 한국금융신문 기자 steami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김나영 기자기사 더보기

유통·부동산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