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아연 VS 영풍-MBK' 구도의 양측의 경영권 분쟁 가운데, 특정한 편에 기운 발언을 삼가왔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언급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 원장의 발언은 금산분리 원칙에 대한 새로운 고민과 관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간 금감원은 경영권 분쟁 자체에 대한 언급이 아닌, 자본시장 불공정 거래 여부, 회계 심사 등에 초점을 맞춰 입장을 견지해왔다.
이 원장은 "특정 산업군에 대해 20~30년을 두고 길게 봐야 하는데, 5년, 10년 내에 사업을 정리해야 하는 형태의 금융자본이 산업자본을 지배하게 됐을 때 주주가치 훼손이 있을 수 있지 않은 지를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제시했다. 그는 "총괄로서 사업 유지를 고민하기 보다 주요 사업부문에 대한 분리매각이 있을 수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원장은 MBK와 연합한 영풍 측의 환경오염 손상차손 미인식과 관련한 회계상 문제점에 따라 감리로 전환해 현장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매우 심각하게 보고 있으며, 최대한 신속히 결론을 내겠다"며 "시장질서 교란 행위와 관련해서는 어느 쪽이 됐든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겠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