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탈(VC)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의 제너럴 파트너 크리스 딕슨(Chris Dixon)은 30일 디캠프 선릉센터에서 열린 방한 기자간담회에서 블록체인 및 미래 인터넷 세상에 대한 비전과 철학을 공유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그의 저서 '읽고 쓰고 소유하다(원제 Read Write Own: Building the Next Era of the Internet)'의 국내 출간 기념으로 열렸다.
이날 크리스 딕슨은 모더레이터로 함께 한 방송인 겸 통역사 안현모 씨와 빅테크의 권력 강화에 따른 영향, AI 시대의 인터넷 동향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크리스 딕슨은 정보, 부(富)의 분배 측면에서 불균형을 초래하는 중앙집중식 기업 네트워크의 위험성에 경고등을 켰다. 크리스는 "흥미로운 혁신의 장애물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사실 AI의 등장으로 이런 상황이 더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크리스는 "많이 쓸수록 가치가 높아진다는 것이다"며 "네트워크 효과 때문에 사람들이 일부 소수 서비스에 몰린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플랫폼 등 수익구조를 보면, 콘텐츠 소비로 지불되는 돈이 실제 창작자에게 공유되는 게 적다는 점을 짚었다.
초기 인터넷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오픈소스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해답이 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그동안 시스템 운영자에게 돈이 몰리게 되는 것이었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새로운 인터넷 기술을 구축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크리스는 "이제 문지기를 없앨 수 있는 것이다"고 표현했다.
커뮤니티가 인터넷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리스는 "AI 모델이 모든 것들을 파괴하는 리스크가 무엇이냐 하면, 모든 커뮤니티들이 사라지고, 동력을 잃는 것"이라며 "제가 하는 주장은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것으로, 인터넷의 경제학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크리스는 "위협이자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기회의 경우 새로운 경제학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탈중앙화의 해법으로 시사한 블록체인 관련, 반감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양면이 있다고 했다. 그는 '컴퓨터 VS 카지노'라고 표현했다.
크리스는 "저희 같은 사람들은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사회에 도움이 되도록 기술을 활용해 체계를 만들고 싶어한다,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토큰을 만들 수 있다"고 했다. 반면 그는 "또 다른 커뮤니티가 있는데, 원래 목적과는 다르게 쓰는 것"이라며 "토큰을 도박하는 것처럼 투기적인 목적으로 쓰는 것으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제시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 "토큰증권, 신속한 법제화 필요…블록체인 활용 국경간 거래 이점 강화" [신성장동력 STO]
- 90년생 ‘홍 대표’ 떴다…넷마블 블록체인 살려낼까
- 에프엔에스벨류, 블록체인 보안인증 솔루션으로 넥스트라이즈 2024 참가
- ‘역시 AI가전=삼성’…삼성전자, AI 가전 신기능 업데이트
- LGU+, AI 앞세워 차세대 6G 통신 인프라 선도한다
- "보험사, 생성형 AI 활성화 위해선 업무 완결 AI 에이전트 효과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4]
- AI와 어깨동무하는 금융사들…코스콤 "AI 서비스 구축 파트너"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4]
- [금융사Talk] 취임 전 부터 AI 열공하는 하태경 보험연수원장 내정자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