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를 위해 SK온은 올해 설비 투자에만 약 7조5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전기차 시장에서 신규 배터리 공장을 가동해 지난해 말 88GWh 수준인 연간 생산능력을 내년까지 220GWh로 공격적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다.
올해 전망도 밝지 않다.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한풀 꺾인 영향이 적어도 올 상반기까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SK온 미국 주요 파트너인 포드는 연초부터 주력 전기트럭 ‘F-150라이트닝’ 생산량을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증권사들은 SK온이 올해 1·2분기 각각 3000억~3500억원씩 대규모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반기 들어 전기차 업황이 회복해 흑자 전환에 성공하더라도 손익분기점(BEP)을 겨우 넘길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당장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엔 부족하다.
SK온이 집중하는 곳이자 대대적 보조금 정책 이후 수천억원대 이익을 안겨주는 ‘기회의 땅’ 미국 전기차·배터리 정책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유력 후보들이 내연기관 노동자 표심을 잡기 위해 ‘전기차 정책 후퇴’를 공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조 바이든 정부는 2030년 전기차 판매 비중을 기존 50%에서 31~44%로 낮추는 방안을 제시했다. 전기차 전환을 우려하는 미국자동차노조(UAW)를 의식해 기존안에서 한 발 물러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닫기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SK온 경영진도 위기경영을 강조하는 경우가 부쩍 많아졌다. 올초 SK온 수장으로 부임한 이석희닫기

또 SK온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에만 임원 16명이 회사를 떠났다. 같은 기간 신규 선임되거나 전입 온 임원은 7명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65명에 달하던 임원 규모는 54명으로 17%나 줄었다.
IPO(기업공개) 계획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달 28일 열린 SK이노베이션 정기 주주총회에서 김준닫기

최근에는 SK온과 SK엔무브를 합병한 이후 상장하는 방안을 내부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