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고팍스 채권단은 지난 1월 31일부터 금융위원회(위원장 김주현닫기

한 투자자는 “노후 생활을 위해 모아온 퇴직금을 굴릴 목적으로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인증 받은 거래소에 돈을 예치했다. 하지만, FTX 파산 여파로 원금까지 막히게 돼 극심한 스트레스와 경제적인 부담이 커졌다”며 “지난해 투자자들을 도와주겠다고 나타난 바이낸스가 이젠 의지할 수 있는 마지막 동아줄이다”고 토로했다.
고파이는 고팍스의 자체 예치 서비스다. 앞서 고팍스는 고파이 투자금을 미국 가상자산 운용사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탈’에 맡겼다. 하지만, 지난 2022년 말 FTX 의파산 여파로 예치금을 상환하지 못하고 있다. 당시 고파이에 묶인 자금은 약 566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팍스는 지난해 초 중국계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의 투자를 받아 고파이 투자자들에게 원리금의 약 40%가량을 1, 2차에 걸친 상환을 통해 돌려줬다. 이 때 바이낸스는 고팍스의 지분 72.26%를 확보해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금융당국에는 가상자산사업자(VASP) 변경 신고서도 제출했다.
특금법상 FIU는 변경 신고 접수일로부터 45일 이내에 수리 여부를 통지해야 한다. 하지만, 바이낸스가 자금세탁연루 혐의 등으로 법률리스크에 휘말리면서 신고 수리도 지연됐다. 특히, 바이낸스는 지난해에만 고팍스의 대표이사를 세 차례나 바꿨다. 이 와중에도 금융당국의 승인은 이뤄지질 않았다. 바이낸스는 대주주 변경 신고가 승인되어야만 고파이의 잔여 미지급액을 지급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신고의 수리가 지연되면서 바이낸스는 고파이 상환금으로 지급한 대여금을 출자전환하고 일부 지분은 매각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FIU와 고팍스에 실명 계좌를 제공 중인 전북은행의 경우, 지배구조 개선과 부채 비율 축소 이행 계획을 이달 말까지 제출토록 요구했다. 고팍스도 사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최근 고팍스는 재무 건전성을 높이고자, 지난달 16일 고파이 상위 채권액 투자자들에게 출자 전환 방안을 제시했다. 채권액을 지난해 31일 자정 기준, 고팍스 원화 시세(5700만원)로 고정해 잔여 고파이 부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했다. 다만 고파이 원리금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가상자산으로 이뤄진다. 5일 기준 원화 가격이 9600만원을 돌파하는 등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채권단의 동의를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최후 방안인 출자 전환 카드를 차선 없이 꺼냈다는 점에 반발하고 있다.
고팍스 관계자는 “출자전환은 FIU와 전북은행의 지배구조 개선과 부채 비율 축소 이행 계획 제출 기한이 촉박한 상황에서 재무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고육지책이다”며 “고팍스 임직원들도 고파이 이용자인 만큼 재산 보호와 회사 생존을 위해 주어진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한신 한국금융신문 기자 poch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