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안내로봇과 U+실내배송로봇은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원격 관제 플랫폼이 탑재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원격 관제 플랫폼은 제품 출시 이후 올 상반기 이내 추가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특히 LG유플러스는 한 플랫폼 안에 고객 업종별 특성에 맞춘 여러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 경험 차별화를 꾀할 방침이다. 예컨대 사내 택배 배송용으로 로봇을 도입하는 경우, 오피스 물류 관리 솔루션을 적용해 택배의 출도착 알림을 제공하고 로봇 배송과 픽업 신청도 가능하게 만든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실제 U+안내로봇을 도입한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시 로봇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해 지정된 시간과 구역에서만 가능했던 기존 서비스의 영역을 확장했다.
향후 LG유플러스는 여러 영역에서 U+로봇이 활용될 수 있도록 많은 솔루션 보유 업체들과 제휴를 맺을 예정이다. 또 각 제휴 업체의 솔루션에 문제가 생긴 경우 원격 관제 플랫폼에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기능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권용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상무)은 “날로 커지는 로봇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낼 수 있도록 다양한 로봇 사업 영역으로 진출하고자 한다”며 “서빙로봇과 함께 이번에 출시된 안내로봇, 실내배송로봇의 기능 고도화를 통해 고객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유플러스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주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nbjesus@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