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 신동빈닫기





신유열 롯데케미칼 전무는 ‘2024 정기 임원인사’에서 전무로 승진함과 동시에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과 롯데바이오로직스의 글로벌전략실장도 겸직하게 됐다. 그가 미래성장실에서 주도할 업무는 글로벌 투자 경험을 토대로 한 그룹 중장기 비전과 신성장 동력 발굴, 미래 신사업 확대 등 중책이다.
특히 신동빈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AI 트랜스포메이션(AI Transformation)’을 강조하면서 사업 혁신을 당부했다. ‘AI트랜스포메이션’ 선제적 대응으로 새로운 게임체인저를 노린다는 전략이다. 롯데그룹 미래성장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사업을 신 전무에게 맡김으로써 승계작업에 속도를 낸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올해 CES가 AI를 전면 내세운 만큼 신 전무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CES 주최 측인 개리 샤피로 CTA(소비자 기술협회) 회장은 “AI가 CES의 중심에 설 것”이라며 “스마트홈·헬스케어·핀테크·제조 등을 가리지 않고 AI가 제품에 들어와 인류에 기여하는 모습을 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3남 김동선 부사장도 미국으로 향한다. 김 부사장이 지난해 10월 한화로보틱스에서 전략 기획부문을 총괄, 전략 담당하는 임원을 맡게 되면서다. 김승연 회장은 유통 분야(호텔·리조트·백화점)를 총괄하고 있는 김 부사장에게 한화의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로봇 사업을 맡겼다. 이를 두고 뒤늦게 경영에 뛰어든 김 부사장을 위해 성장성 높은 로봇사업을 그의 영향권 아래에 놓고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10월4일 공식 출범한 한화로보틱스는 한화 모멘텀 부문 자동화(FA) 사업부 중 협동로봇, 무인운반차(AGV)·자율이동로봇(AMR) 사업을 분리해 탄생했다. 한화와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함께 투자하는 조인트벤처(JV)형태다. 지분구조는 한화 68%, 한화호텔앤드리조트 32%다. 앞서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한화로보틱스에 210억원을 투자했다.
지난해 파이브가이즈 론칭 등 외식사업에 주력한 김 부사장은 올해 CES에서 푸드테크와 관련한 여러 부스를 둘러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올해 CES는 AI 뿐만 아니라 로보틱스 등 다양한 첨단 기술 전시도 예정돼 있어 한화로보틱스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지 관심이 쏠린다.
박슬기 기자 seulg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