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은행연합회장 선출 절차 개시가 임박했다. 은행연합회는 올해 연말 임기가 만료되는 김광수닫기김광수기사 모아보기 회장의 뒤를 이어 협회를 이끌 수장을 뽑는다. 한국금융신문은 은행연합회장 선임 절차부터 역대 회장, 현재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인물 등으로 나눠 차기 회장 선출 과정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광수 현 은행연합회장의 임기는 오는 11월 30일 만료된다.
김 회장의 연임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는 평가다. 은행연합회 정관상 회장 연임은 1회 가능하지만 실제 연임한 사례는 드물다. 역대 은행연합회장 13명 가운데 연임에 성공한 인물은 1989년부터 3·4대 회장을 역임한 정춘택 전 회장 한명뿐이다.
은행연합회장은 은행권을 대표한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자리다. 임기 3년이 보장되는 데다 연봉이 7억원에 육박하는 고액이기 때문에 새 회장 선임 시기가 오면 물밑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진다.
은행연합회장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격 요건이나 이력은 따로 없지만 역대 회장을 보면 금융지주 회장·은행장 등을 거쳤던 이들이 주를 이룬다. 1984년 출범한 은행연합회는 김준닫기김준기사 모아보기성 초대 회장을 시작으로 신병현·정춘택·이상철·이동호·류시열·신동혁·유지창·신동규·박병원·하영구·김태영·김광수 회장까지 약 40년간 총 13명의 수장을 배출했다. 이들 회장 가운데 금융지주나 은행 경영진 경력이 없는 사람은 없다.
관료 출신이라고 모두 은행연합회장을 맡을 수 있는 건 아니다. 지금까지 정부 고위 관료나 은행장 등을 거쳐 풍부한 경험과 연륜을 갖춘 인물이 낙점돼왔다. 관료 중에서는 경제부총리 출신이나 장관급 인사가 선임되기도 했다.
김준성 초대 회장을 비롯해 신병현(2대), 정춘택(3~4대), 이동호(6대), 류시열(7대), 유지창(9대), 신동규(10대) 전 회장은 한국은행이나 산업은행 등에서 총재 또는 부총재 등을 지낸 관료 출신으로 분류된다. 김준성 전 회장과 신병현 전 회장은 한국은행 총재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정춘택 전 회장은 재무부 외환국장, 증권감독원장, 산업은행 총재를 역임했다.
유지창 전 회장과 신동규 전 회장은 행정고시 14회 동기로 유 전 회장은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 산업은행 총재를, 신 전 회장은 재정경제부 기획관리실장과 수출입은행장을 역임했다. 이동호 전 회장은 행정고시 13회 출신으로 재부무 차관, 내무부 장관, 산업은행 총재를 지냈고 류시열 전 회장은 한국은행 부총재 출신이다.
순수 민간 출신 인사는 역대 은행연합회장 13명 중 4명에 불과하다. 이상철(5대) 전 국민은행장, 신동혁(8대) 전 한미은행 회장, 하영구(12대) 전 씨티금융지주 회장, 김태영닫기김태영기사 모아보기(13대)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 등이다. 박병원(11대) 전 회장의 경우 재정경제부 차관과 우리금융지주 회장을 역임해 민관을 두루 거친 인사다.
김광수 현 회장 역시 '반민반관' 출신이다. 김 회장은 행정고시 27회로 당시 재정경제부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 국장 등을 지냈다.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 등을 거쳐 2018년부터 2년간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을 지내다 은행연합회장에 올랐다. 당시 은행연합회는 관료 출신이지만 민간 경험도 있는 김 회장을 차기 회장 후보로 내세우면서 관피아 논란을 피해 갔다.
역대 회장들의 출신 대학도 공통점이 많다. 신병현(미국 아메리칸대), 이동호(고려대), 김태영(명지대) 전 회장 등 3명을 제외한 나머지 10명은 모두 서울대를 졸업했다. 서울대 중에서도 대부분 상경계열을 전공했다.
출신 지역도 당시 정권의 연고지와 연관이 깊다. 김대중 정부 말 선출된 신동혁 전 회장은 전남 강진 출신이고, 노무현 정부 때 뽑힌 유지창 전 회장은 전북 장수 출신이다. 이명박 정부에서 선임된 신동규 전 회장과 박병원 회장은 각각 경남 거제와 부산이 고향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선출된 김태영 전 회장도 부산 출신이라는 점이 부각된 바 있다.
금융권에서는 앞으로 선출될 차기 회장도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관료 출신, 은행장 경험, 지역색 등의 조건이 맞는 인사가 선임될 것이란 전망이다. 지난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주요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 등이 모두 교체된 데다 최근 정부와 금융당국이 은행권 과점 체제 해소와 상생 금융 확대 등을 강조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은행연합회에 관 출신 인사를 심을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은행권 관계자는 “정부에서 이미 찍어둔 관료 출신 인사가 올 것이란 예상도 많다”고 말했다.
정부가 관치 금융 논란을 의식해 개입을 최소화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관료 출신이 은행연합회 회장을 맡을 경우 ‘관피아’라는 수식어는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2014년 세월호 참사로 관피아 낙하산 인사를 비판하는 여론이 일자 은행연합회장을 비롯한 주요 금융협회장 자리가 민간 출신으로 대거 교체됐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