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보고서는 카카오의 ▲모니터링 시스템 ▲체계적 장애 대응 ▲장애 모의훈련 ▲정보 보호 실천 ▲다중화 시스템 ▲BCP(Business Continuity Plan) 및 신규 데이터센터 관련 내용을 담고 있다. 카카오페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등 주요 공동체의 정보 보호 관리 체계와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 노력도 같이 소개했다.
카카오는 실시간 점검과 장애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했다. 서비스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도 늘렸는데, 2023년 기준 정보보호투자액은 약 209억 원으로 전년보다 48.8% 증가했다. 정보보호전담 인력도 61명에서 103명으로 전년보다 68.9% 늘었다.
카카오는 이번 보고서에서 데이터센터 장애 발생을 대비한 기술적 조치도 강조했다. 클라우드와 운영 도구, 데이터센터를 모두 다중화해 장애 발생 시 즉각 복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는 언제나 만약의 상황까지 가정해 준비하고 있으며 그럼에도 발생한 예상치 못한 장애는 빠르게 대처해 이용자의 평범한 일상을 유지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삼고 있다”며 “일상의 당연한 연결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은 기자 nbjesus@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