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KB금융지주 2023년 상반기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KB라이프생명 보장성보험 비중은 90.1%다. 보장성보험 상품 판매가 증가하면서 2분기(4~6월) 신계약연납화보험료(APE)는 229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65.6% 증가했다.
합병 전과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KB라이프 보장성보험 판매가 증가한건 KB생명 전략적 종신보험 판매 전략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상반기 합병 전 푸르덴셜생명 보장성보험 비중은 전체에서 67.9%를 차지했다. KB생명은 4년 전 허정수 전 대표 취임부터 GA채널을 공략하면서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했다. 당시 KB생명이 출시한 'KB 7년의 약속종신'은 현재 생보업계 주력 상품인 단기납 종신보험 전신으로 불리운다. KB생명은 이 상품으로 GA 채널 매출 순위 상위 다섯번째안에 들 정도로 매출이 급증했다. 합병 전 푸르덴셜생명이 KB라이프파트너스로 제판분리를 단행한 뒤 KB라이프파트너스에서도 7년의 약속 종신을 주력을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종신보험 비중이 확대되면서 사차손익도 늘었다. 사차손익은 위험보험료와 사고보험금 차액에서 발생하는 손익을 말한다. 종신보험은 위험손해율이 낮아 사차익이 많이 남는 대표적인 상품이다. KB라이프생명 2분기 사차익은 593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503억원 보다 90억원 가량 드 늘었다. 손해율도 47.2%로 50% 아래로 떨어졌다.
당기순익은 215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13.1% 증가했다. RBC비율은 285.7%를 기록했다.
KB금융지주는 "CSM확대를 위해 보장성보험 판매를 강화한 가운데, 채권금리 하락 및 주가상승으로 투자손익이 큰 폭으로 확대 된 데 주로 기인한다"라며 "다만 2분기 채권금리 상승으로 투자손익이 축소됨에 따라 2분기 개별기준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269억원 감소한 944억원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