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전 HDC현대산업개발을 시작으로 삼성물산·현대건설·DL이앤씨·대우건설·포스코이앤씨·GS건설·롯데건설·SK에코플랜트·코오롱글로벌·금호건설 등 시공능력평가 30위권 내 주요 건설사들이 잇따라 관련 시스템을 도입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지난해 광주에서 발생한 외벽붕괴 사고와 최근 인천 검단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등, 1군 건설사들이 시공을 맡은 현장에서도 대형 사고가 발생하며 건설업계의 긴장감은 하늘을 찌르고 있다.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믿었던 대형사들의 브랜드 아파트에서도 이런 일이 발생해 믿을 곳이 하나도 없다”는 자조적인 반응마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건설사들은 더 이상의 브랜드 이미지 추락을 막기 위해 다소의 비용을 지출하더라도 소비자들의 ‘신뢰 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에 의견을 모으고 있다. 건설업계 한 전문가는 “가뜩이나 높아진 분양가로 고객들의 선호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공사 품질까지 낮아지고 있다는 비판여론이 거세져서 건설사들도 고민이 많을 것”이라며, “이번 결정은 악화된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침체된 분양시장을 살리기 위한 고육지책들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이미 대우건설은 2016년에 자체 개발한 스마트 공사관리 시스템 DSC(Daewoo Smart Construction), OSM(On-Site Monitoring)을 현장에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지리정보시스템(GIS), 머신컨트롤(MC), 머신가이던스(MG)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서비스를 연동해 공사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공사현장 디지털 종합상황판’을 구축하고 있다.
롯데건설 역시 공사를 진행하면서 각 공종별, 부위별로 점검 사항을 사진 및 동영상으로 기록해왔다. ‘통합건설 시공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드론을 통해 시공 전경 및 공사현황 등의 현장 영상정보를 확보하고 3차원으로 정보를 구성해 기술적 위험요인에 대한 예측과 대응하고 있다.
다만 고질적인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지방이나 중견 건설사의 경우는 당장 도입까지는 어렵다며 다소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익명을 희망한 한 중견사 관계자는 “대형 공사현장의 경우에는 그렇게 할 수 있겠지만, 작은 현장에까지 그런 부분들을 신경 쓴다는 것이 솔직히 쉽지는 않다”며, “시간만 충분히 주어진다면 이론상 불가능한 일은 아니지만 대다수 발주업체들은 최대한 공기를 단축해서 효율성을 따지려는 경우가 많아 얼마나 지켜질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 카메라 설치하고 관리하는 것 자체는 그다지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지금도 금리가 높고 인건비와 자재값도 높아서 그런 부분들에 대한 지출이 많은 상황”이라며, “이런 상태에서 새로운 비용을 추가로 지출하는 것이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 같다”고 부연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