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롯데렌탈은 회사의 경영 현황을 진단했다. 롯데렌탈은 영업이익이 2020년 1601억원에서 2022년 3084억원으로 2년 만에 2배 가까이 성장했다. 그러나 이는 코로나19로 신차 생산이 막히며 중고 렌터카 처분 비용이 급격히 오른 덕이다. 실질적인 렌터카 사업으로 거둔 이익은 거의 변동이 없었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제한적인 국내 렌터카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도 성장 가능성에 한계가 있다고 짚었다.
사업영역 확장은 중고 렌터카와 상용차 렌터카 시장 진출이 핵심이다.
장기 렌터카는 신차를 구입해 4년 가량 고객이 굴린 뒤, 반납받아 중고차로 매각하는 구조로 이뤄진다. 앞으로는 반납받은 렌터카를 다시 렌터카시장에 재활용하는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것이다. 회사는 중고 렌터카 사업이 신차 대비 약 4배 높은 자산 수익율(ROA)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상용차는 향후 5년간 5~6배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 상용차 시장을 겨냥한다. 정부는 내년 4월부터 1톤 경유 트럭에 대한 신규 등록을 금지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자영업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포터·봉고 등이 있는 시장에서 전기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고객층이 사업자인 만큼 롯데렌탈은 서비스 역량 확보를 위해 자회사 롯데오토케어(정비)와 그룹사 이브이시스(충전) 등과 연계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해외 사업은 이미 진출해 있는 베트남·태국 단기렌터카 사업을 확장하는 한편, 새로운 지역으로 진출을 모색한다. 새롭게 사업을 펼칠 곳은 일본, 미국 등 국내 관광객이 많은 국가를 검토하고 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