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세계 설탕 가격지수는 149.4p로 지난 1월에 비해 27.9% 올랐다. 2011년 10월 이후 최고치다.
설탕 가격 상승은 세계 각지 설탕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인도와 중국에서 생산량 전망이 계속 하향하고 있는 가운데, 태국과 유럽연합(EU) 생산량도 기대 이하로 예상되며 국제 공급량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브라질 사탕수수 생산량은 비교적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강우량 증가로 수확이 지연되고 있다. 국제 원유가 상승과 미국 달러화 대비 브라질 헤알화 강세 역시 설탕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설탕 가격이 오르면서 수입단가도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식품업계에 따르면 최근 CJ제일제당, 삼양사, 대한제당 등 제당 3사는 일부 식품기업에 설탕 공급가격 인상 협조공문을 보냈다. 계약 시점이 도래한 기업에게 차후 계약에선 인상 가격을 반영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지난해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 등으로 세계 밀 가격이 상승했고, 라면·과자·빵 등 국내 식품 가격이 일제히 오른 바 있다.
홍지인 기자 helen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