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배달의민족(이하 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지난달 31일 공시를 통해 연결기준 지난해 매출 2조 9471억원, 영업이익 424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47% 증가했고, 지난해 –757억원이던 영업손실은 흑자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1월 온라인쇼핑 동향 발표’에 따르면 배달 음식 서비스 거래액(2조 2295억 원)은 7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1월 거래액과 비교해도 8.3% 감소한 수치다.
배달앱 이용자수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빅데이터 플랫폼기업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국내 배달앱 3사(배민·요기요·쿠팡이츠)의 지난 2월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2922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월 3586만명 대비 무려 18.5%나 감소했다.
배달 시장 성장이 정체됨에 따라 배달 라이더들의 이탈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배달 라이더가 속한 운수 및 창고업 취업자 수는 올해 2월 기준 162만2000명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4만4000명이 줄어들었다.
이처럼 배달앱 시장 악화는 배민의 수익 지속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현재 경제침체 등 국내 경제 상황이 여의치 않은 점도 배민의 고민거리다. 인건비 상승, 물가 인상 등으로 소비자와 식당 업주의 배달비 부담이 높아져 이용자 감소현상이 나타나고 있어서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하지만 배민이 전체 이커머스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고, 서비스 제공 영역이 큰 유통기업이 많은 만큼 이같은 자구책으로 나아가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배달업계 관계자는 “예전보다 시장 규모가 축소되고 기존 배달앱 사업자는 물론, 배민이 강화하고자 하는 커머스 시장을 비롯한 업체 경쟁이 매우 치열해 배민 수익성 기조가 앞으로도 지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엔데믹 한계를 얼마나 뛰어넘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올해가 향후 배민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슬기 기자 seulg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신라젠, 펙사벡 실패 딛고 ‘BAL0891’ 신약 승부 [시총 2위의 추억 ①]](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284&h=214&m=5&simg=2025101804563808310dd55077bc212411124362.jpg&nmt=18) 
								 
								 
								 
								 
								 
								 
								



![HLB, 두 번의 영광과 두 번의 좌절…‘R&D 결집’ 승부수 [시총 2위의 추억 ②]](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02623403302772dd55077bc25812315216.jpg&nmt=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