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7일 KBS는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등 미국 중소형은행 폐쇄와 크레딧스위스(CS) 은행 등의 유동성 우려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뱅크데믹’이 확산되면서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실률이 높은 2금융권 금융회사들을 약한 고리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새마을금고는 “연체율 9%는 부동산업과 건설업에 종사하는 일부 채무자에 대한 대출 연체율일 뿐이며 새마을금고 전체 채무자에 대한 연체율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어 “부동산시장 불황에 따라 관련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과 관련해서는 “새마을금고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관리형 토지신탁’만 취급하고 있으며 연체율은 2023년 1월말 기준 0.71%에 불과하다”라고 설명했다. 새마을금고의 PF·공동대출 등은 선순위(우선 상환) 대출이며 LTV(담보인정비율)가 60% 수준으로 연체시 담보물을 매각(공매) 등을 통한 회수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1300여 개 개별 금고가 모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대주단 협의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내용은 논의 중인 단계”라고 밝혔다. 자율협약에는 PF 사업장 부실이 발생할 경우 정상화 지원을 위한 절차와 요건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자체적인 예금자보호 운영과 관련해 ‘뱅크런’ 우려에 대해서는 “새마을금고의 예금자보호는 새마을금고법에 의해 타금융기관과 동일하게 보장되고 있다”며 “2022년말 기준 2조3858억원의 예금자보호기금을 보유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예시로 A새마을금고와 B새마을금고에 각 예금이 5000만원씩 있으면 모두 보호 대상이 되며 C새마을금고 내 개별 2개 지점별로 3000만원씩 보유하고 있으면 총 6000만원이 아닌 5000만원까지 예금이 보호된다.
새마을금고 고객의 권익보호를 위해 보호한도 내에서 최대 2000만원까지 선지급될 수 있으며 출자금은 새마을금고의 자본금으로 예·적금과 달리 예금자보호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거래 금고에 대출이 있는 경우 대출금을 먼저 상환하고 5000만원 한도 내에서 남은 예금을 기준으로 보호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지역금고로부터 예금자보호 출연금 요율 0.13%에서 0.15%로 상향 조정해 운영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현재 고객의 예적금을 언제든지 지급할 수 있도록 ‘상환준비금’을 지난해말 기준 약 12조4409억원 적립하고 있고 자체 적립금도 7조2566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 새마을금고, 30일부터 비대면 타행 이체 수수료 전면 면제
-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 백년 비전 핵심가치 디지털전환 추진 [상호금융 2023년 디지털 전략]
- 새마을금고, 금고 임원 직접 제재권 도입…임원 갑질 근절 나서
- 새마을금고, 다음달 부동산PF 부실 대응 ‘대주단 협의체’ 구성 추진
- 새마을금고, 대체투자 비중 30%까지 확대…올해 블라인드 펀드 확대
- ‘뱅크런’ 우려에 예금보호한도 1억원 상향 꿈틀…상호금융도 ‘예의주시’ [예금보호 상향]
- 이복현 금감원장 “SVB 사태 국내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 윤창현 "SVB 사태 평가 중요…예금보호 한도 등 살펴볼 필요"
- 美 SVB 파산에 여야 ‘한도 상향’ 한뜻…은행권 영향은? [예금보호 상향]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