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위원은 이날 서울 태평로 한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미국, 유럽 은행권 위기 사태 영향에 따른 오는 4월 금통위 결정 변화 여부를 묻는 취지의 질문에 이같이 제시했다.
이어 박 위원은 "중앙은행의 맨데이트(책무)에 충실할 수 밖에 없다는 원칙적인 말씀밖에 못 드리겠다"며 "이번 사안이 우리나라에 어떻게 파급되는지도 중요하나 통화정책 결정 시 물가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아래 주요 변수를 고려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3월 물가에 대해서는 많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전년에 물가가 많이 올랐던 영향의 "기저효과 때문"이라고 짚었다.
박 위원은 "물가가 꺾였다는 정보를 주는 게 아니고, 근원물가가 어떻게 움직이는 지가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한은 총재가 물가가 2% 목표대로 가는 게 확실하면 피벗(정책전환)을 고려한다는 내용을 시사한 데 대해 박 위원은 "물론 그런 숫자들이 나온다면 고려할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피벗을 생각해본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날 박 위원은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일반 대중과의 소통에서 언론의 역할을 강조했다.
박 위원의 임기는 오는 4월 20일까지다. 박 위원은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4월 11일 금통위에 마지막으로 참여하고 임기를 마친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